반응형

Unlock 출처: https://forum.xda-developers.com/hd8-hd10/orig-development/unlock-fire-hd-10-2017-suez-t3913639

Lineage OS 출처: https://forum.xda-developers.com/hd8-hd10/orig-development/rom-lineage-12-1-t3953677

 

 

Amazon 에서 나온 가성비 타블렛인 FireHD 10 (2017, suez모델)은 너무도 저렴하지만 고퀄리티의 액정과 쓸만한 성능으로 수 많은 사람들이 직구해서 사용중입니다.

후속작으로 FireHD 10 (2019) 버전도 나왔는데요. 조금 더 빨라지고 스피커가 좋아졌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덤으로 USB 잭도 USB-C로 변경되었죠.

 

하지만 2019 버전은 아직 unlock 되지 않아서 루팅이 불가능합니다. 조금 더 기다려야 할 것 같습니다.

2017 버전도 unlock 버전이 나오는데 2년정도 걸렸거든요.

 

  Amazon Fire HD 10 (2019) Amazon Fire HD 10 (2017)
Size 262 × 159 ×   9.8 mm 262 × 159 ×   9.8 mm
Weight 504 grams 500 grams
Screen size 10.1 inches 10.1 inches
Screen resolution 1,920 × 1,200 pixels (224 pixels per inch) 1,920 × 1,200 pixels (224 pixels per inch)
Operating system Customized Android, Fire OS Customized Android, Fire OS
Storage space 32GB, 64GB 32GB, 64GB
MicroSD Card slot Yes, up to 512GB Yes, up to 256GB
Tap-to-pay services No No
Processor Octa-core 2GHz processor Quad-core 1.8GHz processor
RAM 2GB 2GB
Camera Rear 2MP, front 720p HD Rear 2MP, front VGA
Video 720p 720p
Bluetooth version Bluetooth 4.2 (TBC) Bluetooth 4.1
Ports USB-C, 3.5mm audio jack Micro USB, 3.5mm audio jack
Fingerprint sensor No No
Water resistance No No
Battery Up to 12 hours mixed use Up to 10 hours mixed use
App marketplace Amazon Appstore Amazon Appstore
Network support None None
Colors Plum, Twilight Blue, Black, White Black, Marine Blue, or Punch Red
Price $150 $150
Buy from Amazon Amazon

FireHD 10 2017

 

어쨋거나 루팅 없이 사용해도 유튜브와 넷플릭스를 사용할 수 있긴 하지만,

아마존OS 특유의 느린 속도와 수 많은 불필요한 어플들이 눈에 거슬려서 루팅 후 Lineage OS로 변경합니다.

기본적으로 ADB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Android USB Driver 도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준비물

  • usb메모리
  • fire hd 10 (2017)
  • fire hd 10에 사용할 micro sd 카드
  • micro-usb 케이블 (통신 가능)
  • PC

 

 

 

Unlock / Lineage OS 설치과정 요약

  1. Fire HD 10 루팅
     : Fire OS 버전에 따라 XDA 제공 tool인 mtk-su 로 진행하거나 Kingoroot 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루팅해야 합니다.
  2. 리눅스 부팅 후 TWRP recovery 설치
    (리눅스 환경에서 Fire10 HD 와 PC를 usb cable로 연결해서 adb 로 진행)
  3. TWRP recovery 모드로 부팅 후 Lineage OS 설치
  4. 넷플릭스, 구글앱 등 필요 어플 설치

 

 

ADB 설치 및 사용방법

2020/08/22 - [모바일 디바이스] - 루팅과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ADB / fastboot 설치와 사용

 

루팅과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ADB / fastboot 설치와 사용

출처: https://wiki.lineageos.org/adb_fastboot_guide.html ADB란 무엇인가? ADB는 Android Debug Bridge의 약자로 개발 툴입니다.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와 개인 PC(맥, 윈도우, 리눅스)간에 통신을 도와주는 프..

qsurf.tistory.com

 

1. Fire HD 10 루팅

 

먼저 fire HD 10 개발자 모드와 USB 디버깅을 활성화 해줍니다.

fire 설정에서 Device Option - serial number 를 연속해서 터치해주면 개발자 설정(Developer Option)이 활성화 되며

여기서 Enable ADB(usb debugging) 을 활성화 해야 합니다.

 

 

a. mtk-su 설치 (FireOS 버전이 5.6.4.0 Build 636558520 까지만 사용 가능)

아래 링크에서 mtk-su 가 있는 압축파일을 받아서 해제한다. 

https://forum.xda-developers.com/hd8-hd10/orig-development/experimental-software-root-hd-8-hd-10-t3904595

 

PC와 FireHD 를 usb 로 연결한 후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작업을 진행한다.

ADB 로 mtk-su를 FireHD에 복사해서 넣고

adb push path/to/mtk-su /data/local/tmp/

adb shell을 열어서

adb shell

복사해놓은 tmp 폴더로 이동한 후 mtk-su에 755 권한을 준다.

cd /data/local/tmp
chmod 755 mtk-su

그리고 바로 실행해줌

./mtk-su

 

 

b. kingoroot(PC)

윈도우 PC에 kingoroot 를 설치하고 fireHD 와 PC를 usb 연결 후 시키는데로 클릭만 해준다.

(사실 잘 기억이 안납니다... 워낙 쉬워서요)

http://www.kingoapp.com

 

 

 

2. 리눅스 부팅 후 TWRP recovery 설치

a. 리눅스 부팅용 usb 만들기

리눅스 부팅용 이미지를 받고

https://drive.google.com/file/d/1k0ysEF2mXbumuUZ0X88lEfbcV9SREiZd/view

부팅usb 제작 프로그램을 받아서 부팅 가능한 usb를 만든다.

https://www.pendrivelinux.com/universal-usb-installer-easy-as-1-2-3/

Step 1 : linux Mint

Step 2 : 다운받은 이미지 iso

Step 3 : 부팅용 USB를 연결후 선택

 

b. 리눅스로 부팅 후 Unlock 및 TWRP Recovery 설치

1. PC 재부팅 후 F8 또는 F2 또는 Del 를 눌러서 USB 로 부팅 진입 시킨다.

 

2. USB 에서 부팅 후 아래 브라우저를 실행시켜서 최신버전의 amount-suez-vX.X.zip 를 받아서 압축 해제한다.

https://forum.xda-developers.com/hd8-hd10/orig-development/unlock-fire-hd-10-2017-suez-t3913639

 

3. 압축 해제한 폴더를 열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터미널 실행

4. FireHD 를 연결한 후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로 스크립트 실행

sudo ./step-1.sh

5. 이제 기기가 벽돌 상태처럼 멈출경우에는 6-1 진행, 아닐경우 6-2로 진행

6-1. ModemManager를 멈추고 제거한 후

sudo systemctl stop ModemManager

sudo systemctl disable ModemManager

brick이 확실히 진행되었으면 "YES"를 입력하자.

USB 연결을 제거하고 아래 명령어 실행

sudo ./bootrom-step-minimal.sh

다시 USB 를 연결하고 아래 명령어 실행

sudo ./fastboot-step.sh

6-2. 아래 스크립트 실행

sudo ./step-2.sh

7. TWRP recevery 설치 완료

이제 Fire HD 10 이 꺼져있는 상태에서 볼륨 업+전원버튼을 동시에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켜면 TWRP recovery 모드로 진입합니다.

 

 

 

 

 

3. Lineage OS 12.1 설치

FireHD 10용 custom OS 는 Lineage OS 12.1(롤리팝) 과 14.1(누가) 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12.1 버전이 더 빠른 느낌이어서 12.1을 사용중입니다. 물론 안드로이드 버전이 너무 낮긴 합니다만..

어차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설치할게 아니라면 상관 없습니다.

해당 롬이 이미 루팅되어 있기 때문에 magisk 는 설치할 필요 없습니다.

 

a. micro sd 카드에 linage os 설치 파일 및 기타 파일 넣기

Fire HD 10 용 linage OS: https://forum.xda-developers.com/hd8-hd10/orig-development/rom-lineage-12-1-t3953677

구글 어플: https://opengapps.org/ - arm64  /  5.1  /  pico 선택

돌비 사운드: https://forum.xda-developers.com/devdb/project/dl/?id=13100

 

b. TWRP recovery 진입

Fire HD 10이 꺼져있는 상태에서 볼륨 업+전원 버튼을 동시에 누르고 있으면 진입함

 

c. Wipe 에서 Format Data 진행 > factory reset 진행

 

d. Install 에서 미리 준비한 롬파일 찾아서 설치

 

e. 구글어플이나 돌비 사운드도 설치 후 재부팅

 

f. 설치 완료

 

 

 

4. 넷플릭스 설치 (FHD 지원)

그냥 넷플릭스를 설치하면 실행이 잘 안되거나 SD급 화질만 재생된다.

FHD(1920x1080) 해상도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지원되는 기기인 것 처럼 수정해야한다.

 

a. 개발자 도구 / Root 활성화

설정에서 빌드넘버를 마구 클릭해서 개발자 도구를 활성화 해주자.

개발자 도구에 들어가면 앱/ADB에 Root 권한도 줄 수 있다.

 

b. build.prop 내용 변경

build.prop 내용을 변경하면 된다. 아래와 같은 어플을 이용하면 조금 더 편하다.

https://www.apkmirror.com/apk/jrummy-apps/buildprop-editor/

아래 항목을 수정해준다.

Manufacture - Google
Brand - google
Device - Pixel 3a
Model - Pixel 3a

c. 재부팅 후 netflix 최신버전을 설치하고 사용하면 된다.

정상적으로 fhd 영상이 나오는지 궁금하면 netflix 에서 test pattern 을 검색 후 재생해보면 우측 상단에 해상도와 프레임이 나타난다.

반응형
반응형

출처: https://forum.xda-developers.com/nook-touch/general/gp-g3-gp7-8-twrp-alternative-firmware-t4074347

출처: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fe26aes&logNo=221894124696&parentCategoryNo=&categoryNo=12&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누크 글로우라이트 3 - 커스텀 롬

출처: https://forum.xda-developers.com/nook-touch/general/gp-g3-gp7-8-twrp-alternative-firmware-t407...

blog.naver.com

설치 방법은 위 자가수리소 블로그를 참조하면 된다.

추가로 아래 내용만 참조하면 된다.

 

TWRP recovery flash

1. fastboot 모드 연결

커스텀롬이 모두 설치된 상태에서 PC와 Nook를 연결한다

Nook가 정상 부팅되어있고 개발자 모드에서 debugging 이 가능하게 체크되어 있으면 아래 명령어로 fastboot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adb reboot fastboot

물론 Nook 가 꺼진 상태에서 home+페이지업 버튼 누른 상태에서 전원을 켜도 fastboot 연결이 된다.

fastboot 연결된 상태에서 아래 명령어로 연결되어있는지 재확인 하고

fastboot devices

연결되어 있으면 아래 명령어로 twrp 이미지를 flash 한다. (nook glowlight plus 7.8 용 이미지)

twrp_quill.img
7.69MB

fastboot flash recovery twrp_quill.img

 

오리지널 펌웨어 복구

아래 링크에서 원래 Nook 펌웨어를 받을 수 있다.

 

Nook glowlight 3: su.barnesandnoble.com/nook/piper/5.0/jay/0.117/update.zip

Nook glowlight plus 7.8: su.barnesandnoble.com/nook/piper/5.0/quill/0.133/update.zip

 

받고나서 twrp 에서 install 진행하려고 하면 device check 에서 에러가 나서 진행이 안된다.

아래와 같이 device check 부분 삭제가 필요하다. 

META-INF\com\google\android\  폴더에서
updater-script 파일을 열어서 수정한다. 3번째줄을 삭제하면 된다. (아래와 같은 내용)

getprop("ro.product.device") == "ntx_6sl" || abort("This package is for \"ntx_6sl\" devices; this is a \"" + getprop("ro.product.device") + "\".");

USB로 nook와 연결하고 수정된 압축파일을 Nook에 넣는다.

이제 TWRP recovery 모드에서 install 로 펌웨어 설치가 가능하다.

 

adb reboot recovery 명령어로 recovery에 진입한 후

install 항목에서 복사해 넣은 오리지널 펌웨어를 설치하면 된다.

 

 

 

 

 

 

 

이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누크 글로우라이트 플러스 7.8인치 (Nook Glowlight Plus 2019) 루팅 방법은 누크 글로우라이트3와 같다.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개발자 옵션을 켜고
2) PC의 ADB 를 이용해서 누크와 연결하고

3) 새로운 런처(사이드로더) 를 누크에 설치하고

4) 스크립트로 super su를 설치해서 루트 권한을 획득한 후에

5) 기본 런처를 변경하거나 기타 설정을 진행한다. 필요에 따라 여러 apk(이북 리더 프로그램, 파일브라우저 등)을 설치

 

출처

https://forum.xda-developers.com/nook-touch/general/how-to-root-set-nook-glowlight-3-t3802331

 

ADB 설치 및 사용방법

2020/08/22 - [모바일 디바이스] - 루팅과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ADB / fastboot 설치와 사용

 

루팅과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ADB / fastboot 설치와 사용

출처: https://wiki.lineageos.org/adb_fastboot_guide.html ADB란 무엇인가? ADB는 Android Debug Bridge의 약자로 개발 툴입니다.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와 개인 PC(맥, 윈도우, 리눅스)간에 통신을 도와주는 프..

qsurf.tistory.com

 

Nook ADB 설정

 

기본적으로 adb 와 안드로이드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진행된다.

 

1. 누크를 켜고 로그인 완료한 후 초기 화면에서  Setting > About 으로 이동

시리얼 번호와 app version 등이 보이는 화면 맨 위에 Nook 아이콘이 보인다.

아이콘을 여러번 계속해서 터치하다 보면 개발자 옵션이 활성화 된다.

2. "Android Developement Settings" 탭에 들어가서"USB debugging" 옵션을 켜준다.

3. Nook와 PC 를 연결 후에 정상적으로 연결 되었는지 adb 명령어로 확인한다.

cmd 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adb devices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으면 숫자와 함께 "unauthorized" 된 device 하나가 보인다.

4. Nook 화면에 file shareing screen이 떠있는데 바깥쪽을 터치해서 숨긴다. (PC 와 파일공유 연결되어 있을 경우 숨겨지지 않으니 이동식 디스크에서 nook 를 안전하게 제거하기 진행해야 한다.)

Nook 개발자 화면에서 "Allow Debugging"을 선택한다.

USB 를 뺏다가 다시 연결한 후에 adb devices 명령어를 실행하면 이제 "unauthorized" 가 아닌 정상적인 device 로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다.

 

런처 설치

PC와 Nook가 연결되어 있고 ADB를 통해서 런처를 설치하면 된다.

설명이나 최신버전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Simple ink launcher

https://bitbucket.org/dsimbiriatin/simple-ink-launcher/wiki/Home

ReLaunchX 

https://www.mobileread.com/forums/showthread.php?t=284418

 

ReLaunchX_2.1.2.apk (1).zip
0.36MB
org.ds.simple.ink.launcher-1.2-release.apk
4.17MB

ADB 명령어로 설치하면 된다.

ADB 가 실행 가능하고 apk 파일이 있는 위치에서 cmd 명령어를 이용하면 된다.

adb install org.ds.simple.ink.launcher-1.2-release.apk

기타 필요한 파일 브라우저도 설치한다. (fxbrowser 또는 totalcommander 등)

 

 

루팅

ADB 연결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고 개발자 옵션에서 debugging 가능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PC와 Nook를 usb로 연결하고 첨부 rootGL3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자동으로 루팅 완료

 

rootGL3.zip
3.95MB

 

커스텀 펌웨어가 설치된 경우에는 adb 에서 nook로 인식되지 않아서 스크립트가 진행되지 않는다.

rootnook.cm 파일에서 아래와 같이 고쳐주자

 ( BNRV520 > device )

@echo off

setlocal enabledelayedexpansion
:: check if its called from external script
if not defined TMPD (
    set PATH=bin;!PATH!
    set TMPD=/data/local/tmp/.nookrooter
    adb start-server >NUL
    for /f %%i in ('adb devices -l ^| find "device"') do set ANDROID_SERIAL=%%i
  ...
  ...

동일하게 실행하면 루팅 완료

 

부팅 에니메이션 고치기

아래 첨부 압축파일을 받아서 압축 해제하고 나온 파일을 nook 에 넣는다.

nook 최상위 폴더에 넣고 아래와 같이 진행하면 된다.

adb shell
su
mount -o rw,remount -t ext4 /dev/block/mmcblk0p5 /system
cp /storage/spsd/bootanimation /system/bin/bootanimation
cd /system/bin
chmod 755 bootanimation
reboot

Nook_GL_4.6_bootanimation.zip
0.01MB

 

 

사용후기

대체 펌웨어 대비 느리고 불편하다...

장점(?) 이라면 nook 오리지널 어플이 살아있다는 정도밖에 없다.

조금 더 안정적인거 같기도 하고..아닌거 같기도 하고..

그냥 대체펌웨어를 사용할 예정

 

이상.

 

반응형

+ Recent posts